형질전환 실험 - 대장균 DNA 전기영동 觀察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8:19본문
Download : 형질전환 실험 - 대장균 DNA 전기.hwp
형질전환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DNA에 의하여 생물의 유전적인 성질이 변하는 일을 말한다.(큐브를 흔들지 않는다)
(1mg=1000ng=1000000pg / 1ng=1000pg)
10ng/ml 인데 50pg넣으려면 5ml
설명
LB plate(0.01% ampicillin)에 도말했다. sample배지도 만들었다.레포트 > 의학계열
순서
① 아이스버킷에 아이스를 넣을 준비, -70℃에 보관중인 Competent cell을 아이스에 꽂아서 녹였다. 그러나 고등생물에 있어서도 세균류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형질전환 이 일어나는지 어떤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것은 S형 세균의 DAN 가 R형 세균 속에 들어가서 유전자 발현을 하기 때문일것이다 전환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DNA의 최소량은 약 10만분의 1 mol이며, DNA의 싱글스트랜드를 주는 것보다도 더블스 트랜드를 주는 쪽이 전환을 일으키기 쉽다. 다당류로 이루어진 두꺼운 막, 즉 협막을 가진 S형균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이것을 다당류성 협막을 가지지 않은 R형균에 작용시키면 R형균의 일부가 S형균으로 변한다.
③ 42℃ 항온수조에 45초 동안 담궈 두었다. 이 수용액에 에틸 알코올이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처리하면 DNA가 침전되며 침전된 DNA를 적당한 완충용액에 녹임으로써 플라스미드 DNA를 정제할 수 있다 전기영동은 DNA나 protein의 size의 차이를 이용하여 size크기별로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experiment(실험)방법
Download : 형질전환 실험 - 대장균 DNA 전기.hwp( 26 )
sample배지도 만들었다. 이 균주를 액체 배지 상에서 적당한 세포수로 배양한 후 회수해서 플라스미드를 얻을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들어갔는지 확인했다. 세포를 끓이거나(중탕 방법) 세포를 알칼리 상태에 두면(알칼리 세포파괴 방법) 세포가 용해되면서 세포내에 존재하는 플라스미드가 세포 밖 수용액 상에 나오게 된다. band가 나오는지 유무확인 했다.
형질전환 실험,대장균 DNA 전기영동 관찰,대장균 DNA
형질전환 실험 - 대장균 DNA 전기영동 觀察
◆가설





DNA loading buffer를 이용해서 size크기를 비교해보았다.
sample배지도 만들 수 있을 것 같고 LB plate(0.01% ampicillin)에 도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전기영동 구별을 하면 band가 나오는지 확인을 하는데 band의 굵기는 DNA양이 많이 나와 가려져서 안보이거나 2~3개지의 종류의 band 굵기가 나올 것 같다. 형질전환은 1928년 영국의 F.그리피스가 폐렴쌍구균을 이용하여 실시한 experiment(실험)이 계기가 되어 발견되었다.
band가 나오는지 유무확인 했다. 형질전환 experiment(실험)에 의하여 유전자의 본체가 DNA라는 것이 밝혀졌다.
플라스미드가 들어갔는지 확인했다.
反應능 세포(competant cell)
④ 2분 동안 아이스에 꽂아뒀다. ◆가설 sample배지도 만들 수 있을 것 같고 LB plate(0.01% ampicillin)에 도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전기영동 구별을 하면 band가 나오는지 확인을 하는데 band의 굵기는 DNA양이 많이 나와 가려져서 안보이거나 2~3개지의 종류의 band 굵기가 나올 것 같다.
◆실험목적 LB plate(0.01% ampicillin)에 도말했다.
다.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 잔여물을 제거하면 플라스미드가 다량으로 녹아 있는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실험목적
② 100㎛ Competent cell에 DNA를 50pg 넣고 30분 동안 기다렸다. DNA loading buffer를 이용해서 size크기를 비교해보았다.
플라스미드 DNA의 분리는형질 전환 균주가 갖고 있는 플라스미드에 존재하는 내성 유전자에 상응하는 항생물질이 들어간 선택배지에서 이 균주를 배양하면,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는 형질 전환 균주는 항생물질이 존재하는 배지에서 살아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