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고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13:42
본문
Download : 삼국의 고분.hwp
이러한 구조는 나중에 죽은 사람을 추가로 묻을 수 있는 무덤구조로, 기본적으로 부부를 합장하거나 가족을 추가로 묻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돌무지덧널무덤보다 경제적인 묘제라…(To be continued )






삼국의 고분의 종류와 특성 양식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널길은 돌로 벽을 쌓고 천정을 널방보다 낮게 쌓았다. 경주지역에서는 고구려에서처럼 회를 바른 벽에 그림을 그린 벽화분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경복 영주 순흥에서는 벽화분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널방에는 돌로 쌓은 시신을 놓기 위한 돌로 쌓은 시상대가 있어 관이나 곽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으며,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에는 회를 발랐다.
삼국의고분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삼국의 고분.hwp( 43 )
순서
다.,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삼국의 고분
- 목 차 -
I. 서론
II. 삼국의 고분
1. 고구려 고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①돌무지무덤
②봉토무덤
(4)주요고분
①장군총
②안악 3호분
③덕흥리 고분
2. 백제 고분
●전기고분 한성(漢城)시대(3세기 초∼475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①돌무지무덤
②돌방무덤
●중기고분 웅진(熊津)시대(475∼538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4)주요고분
①공주 송산리 6호분
②무령왕릉
●후기고분 사비(泗비)시대(538∼660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4)주요고분
①능산리 고분군
3. 신라 고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①돌덧널무덤
②돌무지덧널무덤
③돌방무덤
④화장묘
(4)주요고분
①황남대총
②천마총
③금관총
④무열왕릉
4. 가야 고분
(1)고분의 분포
(2)고분의 입지
(3)고분의 구조
①널무덤
②덧널무덤
③독무덤
④돌널무덤
⑤돌덧널무덤
⑥돌방무덤
(4)주요고분
①대성동고분군
②복천동고분군
③지산동고분군
III. conclusion
돌방무덤의 구조는 시신이 안치되는 널방과 바깥으로부터 널방 안으로 시신을 매납하는 통로인 널길로 되어 있따 널방은 지상에 깬돌로 네 벽을 올려 천정돌을 얹어 만들고, 이 널방의 한 벽에 널길이 달린다.삼국의고분 , 삼국의 고분경영경제레포트 ,
삼국의 고분의 종류와 characteristic(특성) 양식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