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Osmotic Hemo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22:14
본문
Download : Osmotic Hemolysis.HWP
이 압력에 대해 바깥 용액의 삼투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혈구는 그 상태를 유지하기도, lysis되기도, shrink되기도 한다. 따라서 막을 투과할 수 있는 용매인 물이 삼투질 농도가 높은 적혈구 내로 급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적혈구는 부…(drop)
다. 따라서 lysis는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증류수 : 증류수 안에는 아무 분자도 들어있지 않아서 osmolarity는 0이다.
Osmotic Hemolysis
erthrocyte의 osmolarity는 0.3 Osm정도이다.OsmoticHemolysis , Osmotic Hemolysis공학기술레포트 ,
OsmoticHemolysis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Download : Osmotic Hemolysis.HWP( 34 )
순서
Osmotic Hemolysis 실험을 실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Osmotic Hemolysis 실험을 실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시료 1
NaCl : NaCl은 해리상수가 크므로 물에 넣은 0.15M은 전부 다 이온화 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따 따라서 용액 속의 삼투질 농도는 0.30M로 혈구 내의 삼투질 농도와 같고 혈구는 밖의 용액과 isotonic 상태를 이룬다. 실제로 實驗이 끝날 무렵엔 혈구가 시험관 바닥에 가라앉았고 상층에는 맑은 용액만 남았었다. 그러나 우리조의 實驗결과에는 16분 10초경에 lysis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마도 NaCl이 전해질로 작용하여 시험관 내에 colloid 상태로 떠다니고 있던 혈구들을 엉기게 하여 (이 현상을 뭐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두부를 만들 때 MgCl을 넣는 것과 같은 원리) 혈구가 고르게 퍼지지 않고 뭉치게 되어 transient하게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