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17:10
본문
Download :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hwp
”는 코기토 명제를 도출하는 …(To be continued )
Download :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hwp( 38 )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 ,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근대적 의식 몸 철학적 반란 메를로 퐁티 철학 중심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
근대적,의식,몸,철학적,반란,메를로,퐁티,철학,중심,인문사회,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다. 그 당연한 결과로서 철학의 주된 관심은 인식론이 되게 되었다. 고로 존재한다. 아니, 설혹 인식의 확실성을 위해 신을 가정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인간 주체의 의식에서 출발한 결과이지 신에 대한 논변에서 출발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신이란 존재는 어디까지나 인간 주체의 의식에 비추어 명석판명할 때에서야 가정될 수 있었다. 존재에 빛을 비추는 것은 오로지 인간의 의식일 뿐이다. 이는 더 이상 신이 자기 현존과 세계에 대한 확실성을 담지하지 못 하게 된 시대의 당연한 양상이었다. 더 이상 신이나 자연과 같은 초월적 피안이 존재에 빛을 비추지 못하게 되었다.
근대철학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대한 내적 반성과 그러한 인간 주체의 특징을 일반화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이성중심주의(Logos-Centrism)3)와 주체의 형이상학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나는 생각한다. 신과 인간의 존재가 어떠한지에 대한 사변적인 논쟁은 의미를 잃었고, 신으로 상징되는 피안2)이 존재에 빛을 비추는 시대는 종말을 향해 가고 있었다. 그 결과 철학은 인간의 자기현존과 이 세계에 대한 확실성을 인간 주체의 인식에서 찾게 되었고, 근대의 철학들은 인간 주체에 대한 내적 탐구를 통해 인간 주체의 의식이란 새로운 빛이, 더 이상 존재에 빛을 비출 수 없게 된 신의 자리를 대신하게 하였다.1) 인간은 더 이상 자기 현존의 확실성과 세계에 대한 확실성을 위해 신이라는 절대자를 상정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인식능력과 관련된 의식이 모든 철학의 출발점이 되었고, 내적 반성이 가장 명석판명한 철학의 방법이 되었다. 인간 주체의 의식의 형이상학, 근대적 의식의 형이상학이 처음 된 것이다.
`근대적 의식에 대한 몸의 철학적 반란`
-메를로 퐁티의 철학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데카르트의 코기토 명제가 새로운 시대의 철학의 문을 열어젖힌 후 오랜 기간, 우리는 근대적 의식의 철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